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종합병원과 상급종합병원

by 찐환 2025. 5. 7.

 

[종합병원 (General Hospital)]

정의:
내과, 외과, 소아청소년과 등 여러 진료과목을 갖춘 병원으로, 일정 규모 이상의 진료기능을 수행합니다.

기준 조건 (일반적인 예):

  • 100병상 이상
  • 필수 진료과목 7개 이상 운영
    (내과, 외과, 소아청소년과, 산부인과, 영상의학과, 마취통증의학과, 진단검사의학과 등)

역할:

  • 지역사회 의료의 중심
  • 일반 질병 치료 및 입원, 수술 가능
  • 비교적 접근성이 높고, 전반적인 진료가 가능

[상급종합병원 (Tertiary General Hospital)]

정의:
고난이도 진료를 전문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인력·시설·장비를 갖춘 병원으로, 보건복지부가 지정한 의료기관입니다.

기준 조건:

  • 종합병원보다 훨씬 엄격한 조건 필요
  • 전문의 다수, 고난도 진료 시스템, 연구 및 교육 역량
  • 주로 대학병원이 해당됨
  • 보건복지부의 심사를 통해 3년마다 재지정

역할:

  • 중증 질환자 진료 중심
  • 지역 종합병원의 상위 병원 역할 (환자 의뢰받아 진료)
  • 의학 교육, 연구, 고난이도 수술/치료 수행

비교 요약

항목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종합병원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상급종합병원

 

병상 수 100병상 이상 일반적으로 수백~수천 병상
진료 수준 일반적인 진료 가능 고난이도, 중증질환 진료 가능
지정 주체 자율 운영 보건복지부 지정
역할 지역 중심 의료 전국 단위 중증환자 진료 중심
대표 사례 ○○의료원, △△병원 등 서울대병원, 삼성서울병원, 세브란스병원 등
 

▼궁금한점 있으시면 언제든지 이쪽으로 문의주세요▼
https://open.kakao.com/o/sDW9p3fh